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치매 행동 증상 : 배회와 관련된 원인 및 대처 방법과 예방법 치매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다양한 행동 증상 중에 많은 보호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이 바로 배회입니다. 배회는 대상자의 안전과 직결되어 있기때문입니다. 배회의 원인은 무엇이며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고 안전을 위해 가족들이 할 수 있는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배회의 원인 배회란 어떠한 목적이나 의식없이 이동하거나 헤매는 것을 말합니다. 치매로 인해 인지기능과 기억력이 떨어질수록 증상은 두드러지며 어르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실종 등 어르신의 안전에 위협이 되는 행동이 됩니다. 치매로 인한 배회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치매와 관련된 배회의 일반적인 원인과 특징입니다. 인지기능 저하 : 치매로 인한 공간기억, 시공간 기능 저하로 자신의 위치나 주변 환경을 인지하거나 기억하지 못할 수 있습.. 2024. 1. 30.
뇌 부위별 인지 기능과 그에 따른 치매 증상 우리의 뇌는 여러 부위로 나뉘어 있으며 각 부위는 특정한 영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치매로 인해 뇌 부위가 손상되는 경우 위치에 따라 나타나는 치매 증상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뇌 부위별 인지기능과 그와 관련하여 손상 시 나타나는 치매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뇌피질은 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피질 부분으로 두뇌의 가장 외부에 위치하며, 인간의 고급 인지 능력과 운동 제어, 감각 처리 등 다양한 뇌 기능을 담당합니다. 대뇌피질은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전두엽 등으로 나뉘며, 각 부분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전두엽 (frontal lobe) 뇌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여러 정보와 경험을 취합해 의사결정이나 문제 해결, 계획,.. 2024. 1. 27.
치매 환자를 대하는 방법 - 치매 환자를 대하는 원칙과 의사소통 기술 치매 어르신을 대할 때 이전의 우리가 알던 그분이라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현재 어르신의 상태의 눈높이로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럼 치매 환자를 대하는 원칙과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매 환자를 대하는 원칙 엉뚱한 이야기를 한다고 하여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논쟁을 하지 않습니다. 치매증상으로 인해 대상자는 도둑망상, 부정망상, 피해망상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부정하거나 화를 내면 오히려 대상자와의 관계는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사실여부보다는 대상자의 감정에 공감해 주세요. 한 가지 일에 집착하거나 잘못된 사실에 사로잡혀 있을 때는 다른 관심사로 환기시켜 주세요. 때로는 이성적인 대화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논쟁을 피하고 같이.. 2024. 1. 24.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치매 예방 및 식습관 대부분의 치매는 완치가 불가능한 치매가 많으므로 조기발견으로 치매증상을 조절하고 늦추거나 치매예방을 위해 올바른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치매예방 방법과 식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생활 치매 예방법 1. 평소 자신의 건강을 위해 식사나 운동, 수면,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치매를 예방합니다. 신선한 야채와 과일, 불포화 지방산이 있는 푸른 생선 및 잡곡류는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2. 고혈압이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및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질환들을 관리해야 합니다. 고혈압은 혈관에 압력을 가해 혈관벽을 손상시킵니다. 뇌는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혈관손상으로 인해 치매발생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2024. 1. 23.